1983년 6월 30일. KBS TV에서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첫 방송 되었다.
6.25전쟁 종전 30주년을 맞아 라디오에서 ‘아직도 내 가족을 못 찾았소.’라는 방송을 특별편성 했는데 예상보다 반응이 뜨거워서 당시 인기 있었던 TV 프로그램인 ‘스튜디오830’을 통해 아홉가족을 초대했으나 한 가족도 찾지 못했다.
이에 자극받은 담당PD가 특별방송을 제안하는 기획안을 올렸고 그 결과 6월30일 9시 뉴스가 끝나고 방송되게 되었다.
원래 방송시간은 1시간 30분가량의 생방송으로 기획 되었는데 예상을 깨고 상봉신청자들이 물밀 듯 들이닥쳐 긴급회의를 하기에 이르렀다.
“처음에 이런 이산가족 상봉 프로그램이 잘 될 수 있을까 걱정을 했다. 과연 한 사람이라도 만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다. 하지만 6월 30일 밤 10시 15분에 <스튜디오 830>의 확대 방식으로 120분짜리 프로그램이 나가기 시작하면서 완전히 세상이 바뀌어버렸다. KBS 중앙홀에 설치된 접수대에는 상봉 신청이 쇄도했고 밤 11시쯤에는 벌써 중앙홀이 거의 꽉 찼다. 12시 15분에 끝내야 할 방송을 끝낼 수가 없어 긴급 대책회의가 열렸는데, 일단 새벽 2시 30분까지 하고 이튿날 다시 하기로 했다. 이 첫날 4시간 동안에만 몰려든 신청자가 2천여 명에 달했다.” (당시 KBS 기획제작 1부장 안국정의 증언. 원 출처: <한국언론 100대 특종> -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석 달 동안 전국민을 울리고 감동시킨 특종 기획, 특종 드라마'. 나남출판. 2000. p232~233.) - 나무위키에서 재인용.
결국 KBS는 모든 방송편성을 취소하고 7월1일부터 7월10일까지 릴레이 생방송을 긴급편성했다.
7월10일 이후에는 상시편성으로 생방송 되었는데 이 방송은 그 해 11월14일까지 계속되어 ‘총 453시간 45분동안 단일주제 연속생방송’이라는 전대미문의 기록을 세웠고, 기네스북에 등재된 이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이 기간 동안 100,952건의 이산가족이 신청하고 53,536건이 방송에 소개되어 10,189건의 이산가족이 상봉했다.
1983년 6월30일은 대한민국 분단의 아픔을 전 국민에게 되새기게 만든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처음 방송 된 날이다.
사족
1. 패티김이 부른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와 설운도의 ‘잃어버린 30년.’이 방송의 타이틀곡으로 쓰이면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는 원래 1964년도에 발표된 라디오드라마 ‘남과 북’의 주제곡이었는데 원작가수를 섭외해 다시 녹음 하려다가 원작가수인 곽순옥이 당시 홍콩에 거주하고 있어서 그녀와 친했던 가수 패티김이 불렀다고 한다.
‘잃어버린 30년’은 당시 무명의 신인이었던 26세의 설운도를 일약 스타덤에 올려놓았다.
원래는 ‘아버지’라는 제목의 노래였는데 당시 설운도의 기획사에서 방송을 보고 하루만에 개사 해서 방송국에 제안했고 방송사에서 승인하여 방송의 타이틀곡으로 쓰이게 된다.
그 다음날부터 설운도의 스케줄은 폭발하게 되었고 설운도는 이 방송기간동안 천번도 넘게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2. 2015년 10월9일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의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물로 등재 되었다.
3. 대부분의 시청자가 이산가족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하루종일 이 방송을 틀어놓고 있었던걸로 기억된다.
릴레이 방송기간 KBS의 시청률은 78%를 기록했다.
*여러분의 공감과 구독신청은 블로그 운영에 큰힘이 됩니다.
'역사속 오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2일 - 독립협회가 설립되다. (2) | 2022.07.02 |
---|---|
7월1일 - 홍콩, 중국에 반환되다. (4) | 2022.07.01 |
6월29일 - 안전불감증, 삼풍백화점을 붕괴시키다. (2) | 2022.06.29 |
6월28일 - 제1차 세계대전을 알리는 두발의 총성. (0) | 2022.06.28 |
6월27일 - 태극전사, 독일전차군단을 무너뜨리다. (0) | 2022.06.27 |
댓글